습관의 명칭 : 좋은 수면
지표변화 | 191122 | 191127 | |||||||
수면시간 준수 횟수(21:45~05:50) | |||||||||
일일 깊은 수면 시간 2H 이상 횟수 | |||||||||
주간 / 수면중 기상시간의 합(분) |
더 잘하는 방법 | 퇴근 후 15분 이내에 컴퓨터사용, 스마트폰 사용을 마무리 한다. |
퇴근 후 물 이외에 아무것도 먹지 않는다. | |
자기 직전 소변을 본 후, 물 1컵을 먹는다. | |
적절하게 따뜻하게 잠자리를 만들어 놓는다. | |
눕기 전 핸드폰은 최대한 멀리 둔다. | |
오늘 하루도 수고했다고 10번 생각한다. | |
와이파이 연결을 22:00~05:30분 까지 자동 오프되도록 세팅한다. | |
일일 낮잠을 30분 / 1회 이상 자지 않는다. | |
일어날때는 단호하게 일어난다. | |
잘때마다 스포츠 밴드를 착용해 수면의 질을 지속적으로 측정한다. | |
목에는 경추형 베게, 허벅지 밑에는 적당한 받침형 베게를 한다. | |
● BAR, AAR을 하는 목적은
남탓이나 반성을 하기 위해서가 아니라,
오늘의 결과를 활용해 다음 결과를 향상시키는 것이다.
● 3F 원칙
Fast 신속함 기록으로 사후 ‘기억왜곡’과 ‘사후 해석 편향’에서 벗어날 것.
Free 자유로움 작성 양식과 폰트 같은 쓸데없는 것에 에너지 낭비 하지 말 것.
Fact 사실 철저히 사실을 근거로 내용을 기록할 것.
● BAR 191116 |
||
1. 이 프로젝트의 구체적 목적은 무엇인가? 좋은 수면을 취함으로써 건강하고 행복하게 오래 사는 것 |
||
2. 구체적 목적의 달성여부를 적절히 반영하는 측정 가능한 핵심 기준은 무엇인가? 주간 수면시간 준수 횟수(21:45~05:55) 일일 총수면시간 8H 일일 깊은 수면시간 2H 수면중 깨는 시간 최소화 |
||
3. 결과는 언제쯤 나올것인가? 1주내 |
||
4. 수행 중 언제 평가해야 하는가? 주간 간단한 평가 / 분기별 평가 |
||
5. 수행 중 발생할 수 있는 리스크는 무엇인가? 1) 쇼핑하다 늦게 잠들기 2) 일어나서 밍기적거리기 3) 야식으로 인한 늦게 잠듬 4) 늦게 컴퓨터 함으로써 늦게 자기 |
||
6. 리스크의 발생 원인은 무엇인가? 1) 늦게 또 명확한 목적 없이 컴퓨터, 스마트폰을 만지작 거린다. 2) 퇴근 후 집에 와서 뭔가를 먹는다.
|
||
7. 리스크에 대한 대응 방안은 무엇인가? 1) 스마트폰과 컴퓨터는 명확한 목적을 가졌을때만 한다. 2) 퇴근 후 집에 와서는 물만 먹는다.
|
● AAR 190101 |
||
1. 최초에 우리가 기대한 것은 무엇인가? |
||
2. 핵심 기준의 예측치와 실제 결과는 어떠한가? |
||
3. 발생한 결과의 원인은 무엇인가? |
||
4. 향후 보완해야 할 것은 무엇인가? |
by 홍트리버
이 POST 가 도움이 되었나요?
정말 도움이 되었을 때만, <좋아요>, ♥ 를 눌러주세요!
'잡동사니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설계도 - 생활적 독서와 서평 191116 (0) | 2019.11.16 |
---|---|
설계도 - 규칙적 영어 학습 191116 (0) | 2019.11.16 |
설계도 - 규칙적 낮잠 30분 191116 (0) | 2019.11.16 |
설계도 - 습관적인 메모 191116 (0) | 2019.11.16 |
설계도 - 규칙적 유산소 운동 191116 (0) | 2019.11.16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