습관의 명칭 : 규칙적 유산소 운동
지표변화 | 191122 | 191129 | 191206 | 191213 | 191220 | 191227 | 200103 | 200110 | 200117 |
실행 횟수 | 5 | 5 | 5 | 5 | |||||
시간 / 1회 | 40 | 40 | 40 | 41 | |||||
속도 | 7.0 | 7.1 | 7.1 | 7.2 | |||||
총거리 | . | . | 19.54 | 22.70 | |||||
금요일 아침 몸무게 | 못 재봄 | 89.5 | 88.5 | 87.7 |
더 잘하는 방법 |
1) 전날 에코백에 준비물들을 미리 챙겨놓는다. 속옷, 운동양말, 면도기, 모자, 로션, 바디로션, 기타. |
2) 트레드밀을 걸으면서 볼 동영상등을 준비해본다. | |
3) |
● BAR, AAR을 하는 목적은
남탓이나 반성을 하기 위해서가 아니라,
오늘의 결과를 활용해 다음 결과를 향상시키는 것이다.
● 3F 원칙
Fast 신속함 기록으로 사후 ‘기억왜곡’과 ‘사후 해석 편향’에서 벗어날 것.
Free 자유로움 작성 양식과 폰트 같은 쓸데없는 것에 에너지 낭비 하지 말 것.
Fact 사실 철저히 사실을 근거로 내용을 기록할 것.
BAR
● BAR 191116 |
||
1. 이 프로젝트의 구체적 목적은 무엇인가? 규칙적인 중강도 유산소 운동을 함으로써 건강을 유지하고, 체력을 향상 시키고, 체중을 감소시킨다. |
||
2. 구체적 목적의 달성여부를 적절히 반영하는 측정 가능한 핵심 기준은 무엇인가? 1) 유산소 운동 실행 횟수(주 5회 이상) 2) 심박수 135~145회 30분 유지(주 5회 이상) 3) 매주 월요일 아침 기상 직후 몸무게 측정 |
||
3. 결과는 언제쯤 나올것인가? 1달 후 체감할 수 있을 것. 6개월 후 다른 사람들이 눈치채기 시작할 것 |
||
4. 수행 중 언제 평가해야 하는가? 주 1회 aar 분기별 평가 |
||
5. 수행 중 발생할 수 있는 리스크는 무엇인가? 1) 아침에 가지 않는 것 |
||
6. 리스크의 발생 원인은 무엇인가? 1) 늦게 자서. |
||
7. 리스크에 대한 대응 방안은 무엇인가? 1) 밤 21:45분에 눕는다. 2) 방 문에 주 5회 유산소 운동 30분 하기 써붙인다. |
191120
간단히 기록할 필요성을 느낌.
운동 출발전 가져가야 할 것들의 필요성이 느껴짐.(모자, 양말, 속옷, 로션 등)
트래드밀 mode1에 속도7 / 40분에 당분간 적응해야 할 것으로 생각됨.
중간중간 심박수가 150~155정도도 찍는데 속도를 6.7이나 6.8정도로 낮춰볼까 생각해봄
● BAR 191116 |
||
1. 이 프로젝트의 구체적 목적은 무엇인가? 규칙적인 중강도 유산소 운동을 함으로써 건강을 유지하고, 체력을 향상 시키고, 체중을 감소시킨다. |
||
2. 구체적 목적의 달성여부를 적절히 반영하는 측정 가능한 핵심 기준은 무엇인가? 1) 유산소 운동 실행 횟수(주 5회 이상) 2) 심박수 135~145회 30분 유지(주 5회 이상) 3) 매주 월요일 아침 기상 직후 몸무게 측정 |
||
3. 결과는 언제쯤 나올것인가? 1달 후 체감할 수 있을 것. 6개월 후 다른 사람들이 눈치채기 시작할 것 |
||
4. 수행 중 언제 평가해야 하는가? 주 1회 aar 분기별 평가 |
||
5. 수행 중 발생할 수 있는 리스크는 무엇인가? 1) 아침에 가지 않는 것 |
||
6. 리스크의 발생 원인은 무엇인가? 1) 늦게 자서. |
||
7. 리스크에 대한 대응 방안은 무엇인가? 1) 밤 21:45분에 눕는다. 2) 방 문에 주 5회 유산소 운동 30분 하기 써붙인다. |
191120
간단히 기록할 필요성을 느낌.
운동 출발전 가져가야 할 것들의 필요성이 느껴짐.(모자, 양말, 속옷, 로션 등)
트래드밀 mode1에 속도7 / 40분에 당분간 적응해야 할 것으로 생각됨.
중간중간 심박수가 150~155정도도 찍는데 속도를 6.7이나 6.8정도로 낮춰볼까 생각해봄
● BAR 191116 |
||
1. 이 프로젝트의 구체적 목적은 무엇인가? 규칙적인 중강도 유산소 운동을 함으로써 건강을 유지하고, 체력을 향상 시키고, 체중을 감소시킨다. |
||
2. 구체적 목적의 달성여부를 적절히 반영하는 측정 가능한 핵심 기준은 무엇인가? 1) 유산소 운동 실행 횟수(주 5회 이상) 2) 심박수 135~145회 30분 유지(주 5회 이상) 3) 매주 월요일 아침 기상 직후 몸무게 측정 |
||
3. 결과는 언제쯤 나올것인가? 1달 후 체감할 수 있을 것. 6개월 후 다른 사람들이 눈치채기 시작할 것 |
||
4. 수행 중 언제 평가해야 하는가? 주 1회 aar 분기별 평가 |
||
5. 수행 중 발생할 수 있는 리스크는 무엇인가? 1) 아침에 가지 않는 것 |
||
6. 리스크의 발생 원인은 무엇인가? 1) 늦게 자서. |
||
7. 리스크에 대한 대응 방안은 무엇인가? 1) 밤 21:45분에 눕는다. 2) 방 문에 주 5회 유산소 운동 30분 하기 써붙인다. |
191120
간단히 기록할 필요성을 느낌.
운동 출발전 가져가야 할 것들의 필요성이 느껴짐.(모자, 양말, 속옷, 로션 등)
트래드밀 mode1에 속도7 / 40분에 당분간 적응해야 할 것으로 생각됨.
중간중간 심박수가 150~155정도도 찍는데 속도를 6.7이나 6.8정도로 낮춰볼까 생각해봄
● BAR 191116 |
||
1. 이 프로젝트의 구체적 목적은 무엇인가? 규칙적인 중강도 유산소 운동을 함으로써 건강을 유지하고, 체력을 향상 시키고, 체중을 감소시킨다. |
||
2. 구체적 목적의 달성여부를 적절히 반영하는 측정 가능한 핵심 기준은 무엇인가? 1) 유산소 운동 실행 횟수(주 5회 이상) 2) 심박수 135~145회 30분 유지(주 5회 이상) 3) 매주 월요일 아침 기상 직후 몸무게 측정 |
||
3. 결과는 언제쯤 나올것인가? 1달 후 체감할 수 있을 것. 6개월 후 다른 사람들이 눈치채기 시작할 것 |
||
4. 수행 중 언제 평가해야 하는가? 주 1회 aar 분기별 평가 |
||
5. 수행 중 발생할 수 있는 리스크는 무엇인가? 1) 아침에 가지 않는 것 |
||
6. 리스크의 발생 원인은 무엇인가? 1) 늦게 자서. |
||
7. 리스크에 대한 대응 방안은 무엇인가? 1) 밤 21:45분에 눕는다. 2) 방 문에 주 5회 유산소 운동 30분 하기 써붙인다. |
191120
간단히 기록할 필요성을 느낌.
운동 출발전 가져가야 할 것들의 필요성이 느껴짐.(모자, 양말, 속옷, 로션 등)
트래드밀 mode1에 속도7 / 40분에 당분간 적응해야 할 것으로 생각됨.
중간중간 심박수가 150~155정도도 찍는데 속도를 6.7이나 6.8정도로 낮춰볼까 생각해봄
AAR 191122
● AAR 191122 |
||
1. 최초에 우리가 기대한 것은 무엇인가? 규칙적인 중강도 유산소 운동을 함으로써 건강을 유지하고, 체력을 향상 시키고, 체중을 감소시킨다. |
||
2. 핵심 기준의 예측치와 실제 결과는 어떠한가? 참석률 : 월 ~ 금 까지 5/5 심박수 : 측정이 애매함. 몸무게 : 재보지 못함. |
||
3. 발생한 결과의 원인은 무엇인가? 참석률 : 잘 나감. 심박수 : 심박수 측정이 아주 명확하지 않고, 오르락 내리락이 많음. 몸무게 : 월요일에 잰다면 업데이트하기가 귀찮아짐. |
||
4. 향후 보완해야 할 것은 무엇인가? 참석률 : 주 6회를 지키도록 할 것. 심박수 : 최고심박수 155정도가 될정도로 모드1 / 40분 내에서 속도를 7+@로 조절해볼 것. 몸무게 : 매주 금요일 아침에 재도록 해봄. |
● AAR 191122 |
||
1. 최초에 우리가 기대한 것은 무엇인가? 규칙적인 중강도 유산소 운동을 함으로써 건강을 유지하고, 체력을 향상 시키고, 체중을 감소시킨다. |
||
2. 핵심 기준의 예측치와 실제 결과는 어떠한가? 참석률 : 월 ~ 금 까지 5/5 심박수 : 측정이 애매함. 몸무게 : 재보지 못함. |
||
3. 발생한 결과의 원인은 무엇인가? 참석률 : 잘 나감. 심박수 : 심박수 측정이 아주 명확하지 않고, 오르락 내리락이 많음. 몸무게 : 월요일에 잰다면 업데이트하기가 귀찮아짐. |
||
4. 향후 보완해야 할 것은 무엇인가? 참석률 : 주 6회를 지키도록 할 것. 심박수 : 최고심박수 155정도가 될정도로 모드1 / 40분 내에서 속도를 7+@로 조절해볼 것. 몸무게 : 매주 금요일 아침에 재도록 해봄. |
● AAR 191122 |
||
1. 최초에 우리가 기대한 것은 무엇인가? 규칙적인 중강도 유산소 운동을 함으로써 건강을 유지하고, 체력을 향상 시키고, 체중을 감소시킨다. |
||
2. 핵심 기준의 예측치와 실제 결과는 어떠한가? 참석률 : 월 ~ 금 까지 5/5 심박수 : 측정이 애매함. 몸무게 : 재보지 못함. |
||
3. 발생한 결과의 원인은 무엇인가? 참석률 : 잘 나감. 심박수 : 심박수 측정이 아주 명확하지 않고, 오르락 내리락이 많음. 몸무게 : 월요일에 잰다면 업데이트하기가 귀찮아짐. |
||
4. 향후 보완해야 할 것은 무엇인가? 참석률 : 주 6회를 지키도록 할 것. 심박수 : 최고심박수 155정도가 될정도로 모드1 / 40분 내에서 속도를 7+@로 조절해볼 것. 몸무게 : 매주 금요일 아침에 재도록 해봄. |
● AAR 191122 |
||
1. 최초에 우리가 기대한 것은 무엇인가? 규칙적인 중강도 유산소 운동을 함으로써 건강을 유지하고, 체력을 향상 시키고, 체중을 감소시킨다. |
||
2. 핵심 기준의 예측치와 실제 결과는 어떠한가? 참석률 : 월 ~ 금 까지 5/5 심박수 : 측정이 애매함. 몸무게 : 재보지 못함. |
||
3. 발생한 결과의 원인은 무엇인가? 참석률 : 잘 나감. 심박수 : 심박수 측정이 아주 명확하지 않고, 오르락 내리락이 많음. 몸무게 : 월요일에 잰다면 업데이트하기가 귀찮아짐. |
||
4. 향후 보완해야 할 것은 무엇인가? 참석률 : 주 6회를 지키도록 할 것. 심박수 : 최고심박수 155정도가 될정도로 모드1 / 40분 내에서 속도를 7+@로 조절해볼 것. 몸무게 : 매주 금요일 아침에 재도록 해봄. |
AAR 191129
● AAR 191129 |
||
1. 최초에 우리가 기대한 것은 무엇인가? 규칙적인 중강도 유산소 운동을 함으로써 건강을 유지하고, 체력을 향상 시키고, 체중을 감소시킨다. |
||
2. 핵심 기준의 예측치와 실제 결과는 어떠한가? 참석률 : 월 ~ 금 까지 5/5 심박수 : 중강도20분 집중훈련13분 몸무게 : 금요일 아침 89.5 |
||
3. 발생한 결과의 원인은 무엇인가? 참석률 : 잘 나감. 심박수 : 주초에는 심박수가 160~170을 넘는등 고강도였으나 갈수록 심박수가 140~150대 정도에서 유지됨.
|
||
4. 향후 보완해야 할 것은 무엇인가? 참석률 : 주 5회를 지키도록 할 것.(주 6회는 약간의 무리?감이 있음.) 심박수 : 속도 7.1에 41분으로할경우 140~155정도 사이에서 30분이상 유지됨. 앞으로 심박수가 떨어지면 속도를 0.1 올려야겠다. 몸무게 : 매주 금요일 아침에 재도록 해봄. |
● AAR 191129 |
||
1. 최초에 우리가 기대한 것은 무엇인가? 규칙적인 중강도 유산소 운동을 함으로써 건강을 유지하고, 체력을 향상 시키고, 체중을 감소시킨다. |
||
2. 핵심 기준의 예측치와 실제 결과는 어떠한가? 참석률 : 월 ~ 금 까지 5/5 심박수 : 중강도20분 집중훈련13분 몸무게 : 금요일 아침 89.5 |
||
3. 발생한 결과의 원인은 무엇인가? 참석률 : 잘 나감. 심박수 : 주초에는 심박수가 160~170을 넘는등 고강도였으나 갈수록 심박수가 140~150대 정도에서 유지됨.
|
||
4. 향후 보완해야 할 것은 무엇인가? 참석률 : 주 5회를 지키도록 할 것.(주 6회는 약간의 무리?감이 있음.) 심박수 : 속도 7.1에 41분으로할경우 140~155정도 사이에서 30분이상 유지됨. 앞으로 심박수가 떨어지면 속도를 0.1 올려야겠다. 몸무게 : 매주 금요일 아침에 재도록 해봄. |
● AAR 191129 |
||
1. 최초에 우리가 기대한 것은 무엇인가? 규칙적인 중강도 유산소 운동을 함으로써 건강을 유지하고, 체력을 향상 시키고, 체중을 감소시킨다. |
||
2. 핵심 기준의 예측치와 실제 결과는 어떠한가? 참석률 : 월 ~ 금 까지 5/5 심박수 : 중강도20분 집중훈련13분 몸무게 : 금요일 아침 89.5 |
||
3. 발생한 결과의 원인은 무엇인가? 참석률 : 잘 나감. 심박수 : 주초에는 심박수가 160~170을 넘는등 고강도였으나 갈수록 심박수가 140~150대 정도에서 유지됨.
|
||
4. 향후 보완해야 할 것은 무엇인가? 참석률 : 주 5회를 지키도록 할 것.(주 6회는 약간의 무리?감이 있음.) 심박수 : 속도 7.1에 41분으로할경우 140~155정도 사이에서 30분이상 유지됨. 앞으로 심박수가 떨어지면 속도를 0.1 올려야겠다. 몸무게 : 매주 금요일 아침에 재도록 해봄. |
● AAR 191129 |
||
1. 최초에 우리가 기대한 것은 무엇인가? 규칙적인 중강도 유산소 운동을 함으로써 건강을 유지하고, 체력을 향상 시키고, 체중을 감소시킨다. |
||
2. 핵심 기준의 예측치와 실제 결과는 어떠한가? 참석률 : 월 ~ 금 까지 5/5 심박수 : 중강도20분 집중훈련13분 몸무게 : 금요일 아침 89.5 |
||
3. 발생한 결과의 원인은 무엇인가? 참석률 : 잘 나감. 심박수 : 주초에는 심박수가 160~170을 넘는등 고강도였으나 갈수록 심박수가 140~150대 정도에서 유지됨.
|
||
4. 향후 보완해야 할 것은 무엇인가? 참석률 : 주 5회를 지키도록 할 것.(주 6회는 약간의 무리?감이 있음.) 심박수 : 속도 7.1에 41분으로할경우 140~155정도 사이에서 30분이상 유지됨. 앞으로 심박수가 떨어지면 속도를 0.1 올려야겠다. 몸무게 : 매주 금요일 아침에 재도록 해봄. |
AAR 191207
● AAR 191207 |
||
1. 최초에 우리가 기대한 것은 무엇인가? 규칙적인 중강도 유산소 운동을 함으로써 건강을 유지하고, 체력을 향상 시키고, 체중을 감소시킨다. |
||
2. 핵심 기준의 예측치와 실제 결과는 어떠한가? 참석률 : 월 ~ 금 까지 5/5 심박수 : 중강도24분 집중훈련23분 몸무게 : 금요일 아침 88.5 |
||
3. 발생한 결과의 원인은 무엇인가? 참석률 : 잘 나감. 심박수 :평균 131. 적절한듯. 심박수 경고가 160인데, 거의 경고가 뜨지 않음.
|
||
4. 향후 보완해야 할 것은 무엇인가? 참석률 : 주 5회가 적절하게 느껴짐. 헬스장이 올해까지만 한다는 이야기가 있어 근처 헬스장 섭외해야함. 심박수 : 여유가 생겼으므로, 속도 7.1에서 7.2로 올려봐야할듯. 몸무게 : 매주 금요일 아침. |
● AAR 191207 |
||
1. 최초에 우리가 기대한 것은 무엇인가? 규칙적인 중강도 유산소 운동을 함으로써 건강을 유지하고, 체력을 향상 시키고, 체중을 감소시킨다. |
||
2. 핵심 기준의 예측치와 실제 결과는 어떠한가? 참석률 : 월 ~ 금 까지 5/5 심박수 : 중강도24분 집중훈련23분 몸무게 : 금요일 아침 88.5 |
||
3. 발생한 결과의 원인은 무엇인가? 참석률 : 잘 나감. 심박수 :평균 131. 적절한듯. 심박수 경고가 160인데, 거의 경고가 뜨지 않음.
|
||
4. 향후 보완해야 할 것은 무엇인가? 참석률 : 주 5회가 적절하게 느껴짐. 헬스장이 올해까지만 한다는 이야기가 있어 근처 헬스장 섭외해야함. 심박수 : 여유가 생겼으므로, 속도 7.1에서 7.2로 올려봐야할듯. 몸무게 : 매주 금요일 아침. |
aar 191213
1. 최초에 우리가 기대한 것은 무엇인가? 규칙적인 중강도 유산소 운동을 함으로써 건강을 유지하고, 체력을 향상 시키고, 체중을 감소시킨다. |
||
2. 핵심 기준의 예측치와 실제 결과는 어떠한가? 참석률 : 월 ~ 금 까지 5/5 |
||
3. 발생한 결과의 원인은 무엇인가? 7.2가 약간 힘들었으나 할만했다. 7.2로도 심박수가 안정이 되면 7.3으로 속도업을 해야겠다. 일단 다음주도 7.2로. ㄱ
|
||
4. 향후 보완해야 할 것은 무엇인가? 꾸준히 나가기만 하면 될 것. |
by 홍트리버
이 POST 가 도움이 되었나요?
정말 도움이 되었을 때만, <좋아요>, ♥ 를 눌러주세요!
규칙적인 운동, 설계도, 습관, 습관만들기, 유산소 운동, 좋은 습관, 홍트리버
'잡동사니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직장인 영어회화 공부법 - 영어 공부가 필요한데 일하느라 시간이 없다면? (0) | 2019.12.29 |
---|---|
통합 AAR 191207 (0) | 2019.12.07 |
설계도 - 규칙적 유산소 운동 191207 (0) | 2019.12.07 |
설계도 - 규칙적 유산소 운동 191129 (0) | 2019.11.29 |
통합 AAR 191129 (0) | 2019.11.29 |